-
-
전문간호
소개
- 간호부와 주요센터(암병원, 혈액병원등)에 소속되어 있으며, 임상 각 분야에서 환자 진료와 수준 높은 간호 수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원내 전문간호사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전문간호사 운영위원회를 개설하여 선발, 채용, 교육과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전문/전담 간호사는 해당 분야의 임상경력 및 전문간호사 자격증 보유자, 전문가적 업무에 관심이 많은 자 중에서 선발하고 있습니다
- 전반적인 진단과 치료, 재활과 사회적응을 위하여 적절한 스케줄 관리와 조정 업무, 임상실무 수행,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임상간호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전문간로서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문교육과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분야별업무
- 고형암(대장암, 유방암, 위암, 폐암, 갑상선암, 부인암, 간담췌암), 혈액암(소아혈액암, 백혈병, 다발성 골수증)
- 외과계(신경외과, 산부인과, 흉부외과, 비뇨의학과, 외과), 내과계(순환기내과, 호흡기 내과, 종양내과)
- 당뇨, 상처장루, 소아청소년과, 마취통증의학과, 호스피스완화의료
경력관리제도 (CLS)
소개
- 간호 현장 내에서 임상경험, 기술과 역량, 교육, 전문성 등의 수준을 구별하는 등급 구조입니다.
- 각 등급에 따라 보상의 범위를 달리하고, 간호를 동기부여 시킴으로써 스스로 지원하여 승진(승급)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적용대상
- 기본 경력연한을 갖춘 간호사
- 관리자, 전문전담, 외래, 행정교육팀 간호사 제외
시행내용
- 역할기대 : 경력 단계별 역량과 역할기대
- 교육관리 : 경력 단계별 교육 이수, 포트폴리오 관리
- 승단심의 : 지원서, 추천서, 프리셉터 경력, 간호상황사례 작성, 심층면담
경력 단계별 정의
기간 기준 정의 내용 기본간호업무
(CN Ⅰ)1년 미만 기준 - 정확한 인수인계, 환자사정
- 도움에 의한 처방 이해 및 확인, 간호기록
- 자기계발
- 병원내규(표준화지침) 이해
심화간호업무
(CN Ⅱ)만 1년 이상 기준 - Care Plan, 업무 우선순위 선정
- 독립적인 처방확인, 간호기록
- 프리셉터 역할, CQI 활동 참여
- 신입간호사 / 실습학생 교육
- 병원내규(표준화지침) 준수
전문성 개발
(CN Ⅲ)만 4년 이상 기준 - 잠재적 위험요소 파악
- 중환자 상태변화 파악
- 처방, 간호기록 모니터링
- 경력 간호사 교육
- 병원내규(표준화지침) 모니터링
인재육성
(CN Ⅳ)만 7년 이상 기준 - 고급 간호사정 기술 시범
- Unit 내 간호계획 조정
- 처방, 간호기록 표준 개발
- 교육 프로그램 개발, 간호연구 및 CQI 주도
- 병원내규(표준화지침) 개발 및 리더역할
- 간호부와 주요센터(암병원, 혈액병원등)에 소속되어 있으며, 임상 각 분야에서 환자 진료와 수준 높은 간호 수행을 위해 노력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