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이식 후 면역억제제 일정한 시간에 꾸준히 복용하세요
-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정병하 교수팀,
신장이식 후 면역억제제 혈중 농도 변이와 10년 장기 생존율 분석 -
- 혈중농도 일정하게 유지해야 신장 장기 생존율 향상 -
-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Immunology’ 게재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정병하 교수(교신저자, 신장내과) 연구팀이 신장이식 후 사용하는 주요 면역억제제인 타크롤리무스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이식 후 신장의 장기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신장이식 이후에는 거부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지속적인 면역억제제의 복용이 필수적입니다. 타크롤리무스는 면역억제제 중 가장 중요한 약제로서,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한 충분한 면역억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혈중 약제의 농도를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팀은 1996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에서 신장이식을 받은 1,143명을 대상으로, 이식 후 2년 동안의 타크롤리무스 혈중 농도의 변화에 따른 이식 신장의 10년 장기 생존율을 비교했습니다. 환자군은 농도 변화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했습니다.
연구 결과, 혈중 농도의 변화가 가장 큰 군에서 나머지 두 군과 비교해 장기 생존율이 가장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그림 1). 그 이유는 농도 변이가 높은 군에서 이식 신장의 급성 거부반응 발생의 빈도가 높아 (그림 2), 이로 인해 이식 신장의 점차적인 기능 손상이 일어나므로, 결국 이식신장의 장기 생존율이 낮아지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흥미롭게도 평균 농도가 5ng/mL로 비교적 높게 보인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도 역시 혈중 타크롤리무스 농도의 변화가 심할수록 이식 후 장기 생존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연구팀은 단순히 농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농도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 또한 중요함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 책임자인 정병하 교수는 “신장이식 이후 면역억제제를 철저히 복용해 혈중 농도를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해야 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이번 연구는 농도 뿐 아니라 농도의 변화도 최소화 시켜야 한다는 것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신장이식 이후 환자분들이 이식 받은 신장의 기능을 오랜 기간 잘 유지하기 위해, 매일 일정한 시간에 면역 억제제를 꾸준히 복용하는 등 환자 스스로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Immunology’(IF 7.561) 온라인판에 9월 30일자로 게재되었습니다.
- 신장내과 정병하
- 진료분야신장이식,사구체신염,단백뇨,고혈압,당뇨 콩팥병
서울성모병원, 고객서비스 품질 만족도 6년 연속 1위
2021.11.052024년 아시아 ‧오세아니아 가톨릭의사협회 국제학술대회 한국 유치
2021.11.08제 46조 및 선택진료에 관한 규칙 제 2조에 의거하여 전문의 자격 취득 후 5년 (치과의사는 면허 취득 10년)이
경과한 대학병원, 대학부속 치과병원의 조교수 이상인 진료경험이 풍부한 의사를 환자나 그 보호자가 선택하여
진료받는 제도를 말합니다.
- 선택진료는 기본진료비 이외에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범위의 추가비용을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 진료항목별 상세한 추가비용 산정기준은 병원진료외래진료안내선택진료안내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