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생명의 신비상’ 시상식, 김완욱 교수 생명과학분야 본상 수상
-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서울 로얄 호텔서 열려 -
- 20년 넘게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연구를 위해 헌신해온 공로 인정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김완욱 교수가 13일 오후 4시 서울 로얄호텔에서 개최된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위원장 염수정 추기경) 주관 제15회 ‘생명의 신비상’ 시상식에서 생명과학분야 본상을 수상했습니다.
또한 생명과학분야 장려상에는 김진우(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인문사회과학분야 장려상 최진일(가톨릭대학교 생명대학원) 박사 ▲활동분야 본상 한국희망재단 ▲활동분야 장려상 명랑촌(성산종합사회복지관)이 각 각 수상했습니다.
본상을 수상한 김완욱 교수, 가족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습니다.(사진 가운데 염수정 추기경, 좌측 김완욱 교수)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이날 시상식에는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추기경(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위원장), 서울대교구 총대리 손희송 주교(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부위원장), 유경촌 주교(서울대교구 생명의 신비상 시상위원회 위원장), 정순택 주교(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인재양성기금위원회 위원장), 구요비 주교(가톨릭 생명윤리자문위원회 위원장)과 수상자의 가족만 참석하여 진행되었습니다.
김 교수는 지난 20년간 ‘자가면역성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수행, 2012년 이후 최고 권위의 면역학-의과학 잡지에 연구결과를 발표해왔고, 2019년 ‘태반성장인자’가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으킨다는 기전(機轉)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습니다.
김 교수는 “ 연구를 위해 기꺼이 조직과 혈액 등을 떼 주는 환자들의 헌신이 있었기에 좋은 연구결과를 거둘 수 있었다며, 지난 20년 동안 아낌없이 자기를 내주신 환자들께 이 자리를 빌어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2005년 첫 제정된 ‘생명의 신비상’은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가 인간 생명의 존엄성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을 구현하기 위해 학술연구를 장려하고, 생명수호 활동을 격려함으로써 생명문화를 확산시키고자 제정했습니다. 생명과학, 인문사회과학, 활동의 총 3개 분야에 걸쳐 상을 수여하며 모든 분야를 망라해 지대한 공헌을 한 경우 대상을 수여합니다.
- 류마티스내과 김완욱
- 진료분야류마티스관절염,강직성척추염,루푸스,베쳇병
‘노화성 난청’ 나이, 고혈압, 당뇨, 복부비만이 위험요인
2021.01.12‘혁신·창업 아이디어’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선도
2021.01.15제 46조 및 선택진료에 관한 규칙 제 2조에 의거하여 전문의 자격 취득 후 5년 (치과의사는 면허 취득 10년)이
경과한 대학병원, 대학부속 치과병원의 조교수 이상인 진료경험이 풍부한 의사를 환자나 그 보호자가 선택하여
진료받는 제도를 말합니다.
- 선택진료는 기본진료비 이외에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범위의 추가비용을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 진료항목별 상세한 추가비용 산정기준은 병원진료외래진료안내선택진료안내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